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이상혁/플레이 스타일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2018 시즌 ~ 2021 시즌 === >'''라인전은 루키 선수처럼 하고 싶고 후반 운영에선 페이커 선수처럼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요.''' >---- >現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Gen.G Esports]] 미드 라이너 [[정지훈(2001)|Chovy]] [[https://youtu.be/T9QRWcaH0Go&feature=emb_title&t=21317s|#]][* 2020 스프링 롤리나잇 인터뷰 중에서] 2018 시즌엔 압도적이었던 메카닉적인 역량이 나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하락하면서, 떨어진 팀원들의 폼과 더불어 새롭게 플레이 스타일을 갖춰나가기 전까지 시행착오를 강하게 겪은 과도기 시즌이라고 볼 수 있다. 2017 시즌까지는 기복이 있어도 라인전 포식자 피라미드 상위권에서 내려온 적이 없었던 페이커였지만 21세기에 태어난 더 강력한 메카닉적 역량을 가진 미드 라이너들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파훼법을 찾기 전까지 부진한 시기를 겪게 된다. 또한 울프의 언급에 의하면 페이커의 화면 전환이 유독 심해진 시즌도 2018 시즌부터라고 한다. 이 시기를 전후하여 CS를 있는 대로 몰아 먹는 것을 지양하고 캐리 롤보다는 팀적인 것에 좀 더 주력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우선 이전까지는 항상 페이커가 1옵션이었는데, 19 시즌에는 탑에 [[김동하(프로게이머)|칸]], 바텀 원딜에 [[박진성(프로게이머)|테디]], 정글에 [[김태민|클리드]]까지 영입을 하면서 본인이 캐리 옵션을 떠맡을 상당 부분이 사라졌다. 거기에 이에 따라서 플레이 스타일도 상당수 변하기 시작하는데 22 시즌 현재까지 플레이 스타일의 시초는 사실상 이 시점부터라고 생각해도 될 정도. 2018 시즌부터 불안정해졌던 라인전이 2019 시즌부터 매우 안정화되면서 라인전 기복이 완전히 줄어들었다. 다만 저점을 높임과 동시에 고점도 많이 상쇄되었다는 건데, 라인전에서 반반 위주로 상대에게 라인전에서 밀리는 모습은 전혀 없지만, 오히려 상대를 이기는 경우도 많이 사라지면서 이전 전성기와 같은 모습은 많이 잃었다고 평가 받았다. 다만 예전의 말도 안 되는 솔킬 대신 정글을 불러 갱을 하는 쪽으로 바뀌었고 라인전 주도권을 미드 라인에서의 솔킬로 연결시키기보다는 푸시 후 시야 작업과 로밍에 주력하는 쪽으로 바뀌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한타 단계에서는 이전의 17년도까지의 모습이 일정 이상까지 거의 살아났다고 평가받는다. 이 2019 시즌은 페이커의 라인전 폼은 전성기에서 많이 밀려났다고 평가받지만, 한타 단계만큼은 이전의 모습을 거의 완벽하게 구현했다고 평가받는 시기였다. ||<tablebordercolor=#e2012d><nopad> [youtube(KHfXP7Q-jvY)] ||<nopad> [youtube(yjoaiOGzXzM)] || 평소에는 워낙 캐리력 높은 선수들이 많으니 팀에서도 옵션 순위가 높지는 않았지만, 팀의 위기의 순간에는 특유의 클러치 플레이로 팀을 위기에서 많이 구해냈다. 결국 이러한 모습은 19 시즌 LCK를 전부 통합하면서 결과로 증명했다. 기존의 하이퍼 캐리형 미드의 성향에서 팀을 위해 받쳐주는 '''[[김태상|도인비]], [[이서행|쿠로]]로 대표되는 로밍형 혹은 팀파이트형 미드 라이너'''로서의 모습이 부각되기 시작한 첫 해이다.[* 다만 2019년 충격적인 G2와 캡스의 활약과 총사령관 도인비가 이끄는 FPX의 롤드컵 우승 이후로는 상술한 플레이 스타일로 바꾸는 많은 프로 미드 라이너들이 생겼고 실제로 각 리그를 우승했던 미드들도 대부분 이런 스타일을 선호하는 선수들이었다.] 특히 2019 MSI 캡스에게 뼈아픈 패배를 당한 이후로 이런 성향이 더욱 짙어졌다. 또한 이때부터는 18 시즌보다도 더 정교하고 세밀한 오더로 게임 운영에 완전히 집중하기 시작한 시기로도 평가받는다는 것과 마타와 함께 펼쳤던 오더와 운영 능력을 위시한 19 SKT는 가장 LCK에서 운영을 잘하는 팀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그러나 국제 대회에서는 연달아 다전제 토너먼트 단계에서 폼이 떨어진 모습을 보여주면서 플레이가 더는 국제전에서 통하지 않는다는 의문이 들기 시작했고, 결국 이 부분에 대한 증명은 2022시즌까지도 완전히 이루지는 못하였고, 2023시즌에 월즈 우승을 달성하면서 이루어내었다. 2020년부터는 2019년의 사실상 연장선이라고 평가를 받지만, 그 플레이 스타일에는 사소한 차이가 존재하기는 한다. 신인들이 팀에 많아짐에 따라 이전에 비해서 오더나 운영 쪽 능력이 완전히 만개해서, 이제는 오롯이 '''베테랑''' 그 자체로 평가받는 시즌이 바로 이 2020 시즌이다. 다만 라인전과 한타 단계에서 눈에 띄는 경우가 상당히 줄어들기 시작했는데, 한타 단계에서는 여전히 자신의 플레이메이킹이나 게임 운영상의 설계를 위주로 게임을 끌어나갔지만 이전과 같이 위급한 상황에서 게임을 뒤집는 클러치 플레이가 줄어들어 버렸기 때문에, 캐리력 자체는 많이 줄어들었다. 우승을 차지한 20 스프링과 시즌 최종 5위에 그친 20 서머의 경기력 차이도 다소 컸다. 20 스프링에는 많은 수와 다양한 역할군의 챔피언을 꺼내들었으나 서머에 들어서 시그니처 픽인 아지르와 트위스티드 페이트 투툴이라는 불명예스러운 평가를 받았고 20 스프링에는 해당 시즌 T1과 함께 3강이었던 젠지, DRX의 체급이 높은 미드 라이너들을 상대할 때도 크게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서머에는 쵸비, 비디디, 쇼메이커 등 상위권 미드 라이너와의 경기에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며 서머 시즌 중반에서 포스트시즌까지 대부분 출전하지 못하기도 했다. 특히 라인전은 너무나도 반반 위주로 치중되어버려서 20 시즌 T1의 체급이 높지 않다고 평가받는 이유 중 하나로 지목되기도 하는 등, 냉정하게 말해서 라인전 기량 자체는 좋다고 보기는 좀 무리가 있었던 시즌이기도 하다.[* 게임 내적인 요소만 놓고 보자면 안 좋은 평가가 내려질 수밖에 없지만,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컴캐스트]]가 팀을 운영하며 이뤄졌던 일련의 사건들의 영향이 결코 없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2020 서머~2021 스프링까지의 약 1년은 내홍이 매우 많았던 시기이기 때문.] 예전처럼 라인전을 압도하는 모습이 없어졌지만 저점이 뜰 때를 제외하고는 어떤 선수를 상대로도 반반을 갔다. 다만 미드 라이너 양극화가 심했던 20 서머에는 라인전이 약한 선수 상대로도 반반을 가는 등 분명 아쉬운 모습이었다. 결국 이러한 플레이의 한계로 결국 20 시즌에는 월즈 진출에도 실패하게 되는 안타까운 해가 되게 된다. 이 시기 팀 플랜이 정글 갱보다는 풀캠을 도는 쪽이어서 라인전이 반반으로 고착되었다고 보는 시각도 있는 듯하다. 21 시즌에는 메타에 맞춰 플레이가 판이하게 바뀌었다. 라인전에서 지나치게 반반을 선호한다는 세간의 평가를 뒤엎고 라인전을 강하게 가져가며[* 라인전 지표상으로 리그 내 1~2위 수준이다.] 턴을 확보한 뒤 뛰어난 로밍 능력으로 타 팀원들을 보조하고, 한타에서는 자신의 플레이메이킹과 설계를 통해 이득을 가져오고 이렇게 가져온 이득을 큰 무리 없이 안정적인 모습으로 운영을 통해 굴리는 모습으로 게임을 이끌어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1 시즌 모스트 픽인 트페와 라이즈가 이를 방증하는데, 일각에서는 도인비와 비슷한 플레이 방식이라고 얘기하기도 한다. 최전성기 시절의 페이커를 회고하는 많은 사람들은 그 당시의 포스와 위력을 이젠 온전히 구현해내지 못하는 것이 어쩔 수 없다라는 평가도 있지만, 여전히 페이커가 월즈 4강이나 리그 내에서 신세대 미드 라이너들이 게임을 이끌어나가는 와중에도 최상위권 미드라고 평가받는 것은 정말로 놀라운 모습이기도 하고, '''최전성기는 지났더라도 전성기가 아직 완전히 끝나지 않은 채 계속 이어지고 있다'''라고 평가되기도 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